모바일 주민등록증을 2025년 3월 14일인 오늘부터 주민센터에서
발급을 받을 수 있다고 해서 다른 업무를 보는 겸 주민센터에 방문하였다.
주민센터 창구 앞에 민원인이 어디까지 하면 되는지 친절하게 사진으로 나와있었다.
그래서 편하게 진행할 수 있었어요.
[주민센터 방문 시 준비물]
1. 주민등록증
2. 모바일 신분증 앱
실물의 주민등록증이 있어야지만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고 했다.
(같이 간 남편은 운전면허증이 있어서 발급받지 못했다)
주민등록증 꼭 챙기세요!
어플 설치 후 본인인증을 진행하면
이런 화면이 뜰 거에요.
맨 위에 있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에서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파란색으로 신청하기가 뜹니다.
신청하기를 누른 후 주민센터 직원분께 신분증과 함께 전달하면 됩니다!
모바일 신청서라는 서류를 직원분이 주시면 작성 후 전달하시구요.
모바일신분증 발급 방식은 IC 주민등록증을 이용해 발급을 받거나, IC 주민등록증 없이 스마트폰으로 QR을 촬영해서 발급받는 방식이 있어요.
IC칩 내장 주민등록증 방식과 QR 코드 방식을 비교해볼께요.
* IC 칩 내장 주민등록증을 발급해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는 방법
- 주민센터 방문 후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을 신청 및 수령 후 스마트폰에 태그하여 발급받기
-> 장점: 휴대폰을 변경해도 IC칩 내장 주민등록증을 태그하면 되어서 주민센터에 재방문 하지 않아도 된다.
-> 단점: 재발급 수수료 5,000원과 IC칩 비용 5,000원 총 발급비용으로 1만원이 발생함.
* QR코드 방식
- 주민등록증을 지참하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창구 직원이 1회용 QR코드 스캔 후 발급받기
-> 장점: 무료로 즉시 발급 받을 수 있다.
-> 단점: 휴대폰 교체 및 앱삭제, 3년이후(유효기간 3년) 주민센터 방문해야한다.
저는 신분증이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이 아니라 고민을 했는데요.
기존 주민등록증에 사진이 마음에 들기도 하고 무엇보다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는데 1만원이라는 비용을 쓰고 싶지 않았기에 QR코드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이후 안면인식 본인인증이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있는 사진과 실제 얼굴을 촬영하는데 정면, 측면을 인증하면 본인인증은 완료됩니다.
저는 다행히 사진이 오래되지 않아서 바로 인증이 되었는데 젊은 사진을 하시는 노인분들이나 보정이 많이 들어간 사진은 인증이 되지 않지 않을까 걱정이 되긴 하더라구요.
인증 후 모두 완료되면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완료되었어요.' 라는 문구가 있는 화면과 함께 카톡으로 알림도 왔어요.
모바일 신분증 화면에 들어가면 이런식으로 뜬답니다.
어플에 들어가서 인증을 하면 현재 날짜와 시간이 보이고 구민번호 뒷자리와 주소는 마스킹처리되어 보입니다.
클릭을 하면 주민번호 뒷자리와 주소까지 볼 수 있어서 클릭한 후 필요 시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타지역 이사 시 전입신고를 하면 모바일 신분증에서 주소가 전입신고 한 곳으로 변경되더라구요!
주소변경때문에 주민등록증을 재발급 받는걸 고민했는데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모바일 신분증에서는 주소가 변경되어 떠서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았습니다!
NFC로 제출하기 버튼도 있던데, 일상에서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법적 효력을 마지막으로 이상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법적 효력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법 제24조의 2에 따라 일반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계기관 등에서는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원활히 사용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행정안전부 장관
'▶ 궁금해서 찾아보는 핫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3법 (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법) 주요내용, 법사위 통과 후 전망 (0) | 2025.02.26 |
---|